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장흥노력항여객선터미널 제주도 배편 시간표, 요금표, 차량선적요금 총정리

Global trends 2025. 3. 17. 10:21
반응형

 

 

 

 

 

 

 

 

 

 

 

장흥노력항여객선터미널 제주도 배편 시간표, 요금표, 차량선적요금을 오늘 포스팅에서 자세히 정리하여 다음에서 알려드리니 장흥노력항여객선터미널 제주도 배편 시간표, 요금표, 차량선적요금 이해에 도움이 되기 바랍니다.

 

 

장흥노력항여객선터미널 제주도 배편 시간표, 요금표, 차량선적요금 총정리
장흥노력항여객선터미널 제주도 배편 시간표, 요금표, 차량선적요금 총정리

 

 

 

 

 

 

 

장흥노력항여객선터미널 제주도 배편 시간표, 요금표, 차량선적요금

 

 

 

 

 

 

 

 

 

 

 

오늘 포스팅은 장흥노력항여객선터미널 제주도 배편 시간표, 요금표, 차량선적요금에 대한 정보입니다. 오늘 정리하여 알려드린 장흥노력항여객선터미널 제주도 배편 시간표, 요금표, 차량선적요금은 포스팅 작성일 기준에서 가장 최신 정보를 확인하고 정리하였습니다. 하지만 장흥노력항여객선터미널 제주도 배편 시간표, 요금표, 차량선적요금은 향후 사정에 따라 변할 수도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가장 최신 장흥노력항여객선터미널 제주도 배편 시간표, 요금표, 차량선적요금은 포스팅 본문에 남긴 지자체 홈페이지 또는 여객선터미널 고객센터, 제주도 교통, 배편, 항공편 자료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장흥노력항여객선터미널 제주도 배편 시간표, 요금표, 차량선적요금은 다음과 같습니다.

 

 

 

 

 

 

 

 

 

 

장흥노력항여객선터미널 제주도 배편 시간표, 요금표, 차량선적요금

 

아래의 모든 정보를 종합하여 장흥노력항여객선터미널에서 과거 운항되었던 장흥(노력항)↔제주(성산항) 배편의 시간표, 요금, 차량선적요금 및 관련 유의사항 등을 최대한 자세하게, 그리고아주 아주 길게정리해보겠습니다. 현재는 운항이 중단된 노선이므로, 아래 내용은 과거 정보를 토대로 작성한 참고 자료라는 점을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1. 장흥노력항여객선터미널 개요

·        터미널명: 장흥노력항여객선터미널

·        주소: 전라남도 장흥군 회진면 노력도1 465

·        선사위치(지번): 전남 장흥군 회진면 덕산리 2107-27

·        대표전화: 1577-5411

·        팩스번호: (미기재)

장흥노력항여객선터미널(이하 노력항 터미널)은 한때 장흥(노력항) ↔ 제주(성산항) 구간을 운항하던 카페리 여객선의 출발·도착지로서 활용되었습니다. 이곳은 전라남도 장흥군 회진면 노력도에 위치한 항구이자 여객터미널로, 과거에는 어업 중심의 어촌정주어항이었으나 군비(150억 원)를 투자하여 여객·화물 처리도 가능한 다기능 항만으로 확장하였습니다.

하지만 2015 10 이후 장기 휴항에 들어가면서, 현재는 운항이 전면 중단된 상태입니다. 2010년 개항 당시에는 국내에서 제주도로 가는 가장 빠른 카페리라는 명성으로 많은 주목을 받았습니다. 특히 오렌지호(4,200톤급)를 포함해 한때 2척의 쾌속 카페리가 운항되어, 장흥 및 제주 동부 지역(성산 일대) 관광산업과 지역경제에 큰 활력을 불어넣었던 적이 있습니다.


2. 장흥노력항 오시는 길

장흥노력항(노력도)전라남도 장흥군 회진면 덕산리 2107-27 일대에 위치합니다. 내비게이션에서 아래 키워드를 검색하면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        검색 키워드:

o   노력항

o   장흥노력항터미널

o   장흥 노력도

아래는 주요 고속도로별 접근 경로입니다.

2.1 호남 고속도로 이용 시

1.     호남고속도로광주 톨게이트 통과

2.     동광주 IC(화순·장흥 방면)2순환도로 진입

3.     소태 톨게이트 지나2순환도로 지원 교차로(화순·장흥 방면)

4.     화순보성 초당 교차로 (목포·장흥 방면)

5.     순지 교차로 (천관산 방면) → 천관산회진면노력항

2.2 서해안 고속도로 이용 시

1.     서해안고속도로

2.     서해안고속도로 죽림 분기점 서영암 IC(남악 방면)

3.     영암 ~ 순천 고속도로 진입장흥 IC

4.     장흥읍 경유천관산 방면회진면노력항

2.3 남해고속도로 이용 시 (부산 출발)

1.     남해고속도로 이용

2.     광양 IC (광양읍·여수 방면) 진출

3.     세풍 교차로 (순천 방면) → 해룡 교차로 (남순천 IC 방면)

4.     영암 ~ 순천 고속도로 진입장흥 IC

5.     장흥읍 경유천관산 방면회진면노력항

2.4 중부내륙고속도로 이용 시 (포항·대구 출발)

1.     중부내륙고속도로

2.     칠원 분기점 (진주·함안 방면) → 남해고속도로 진입

3.     광양 IC (광양읍·여수 방면) → 세풍 교차로 (순천 방면)

4.     해룡 교차로 (남순천 IC 방면) → 영암 ~ 순천 고속도로 진입장흥 IC

5.     장흥읍 경유천관산 방면회진면노력항

2.5 여수·순천 방면에서 출발 시

1.     여수 엑스포대로도롱 IC (목포·보성·순천만 IC 방면)

2.     영암 ~ 순천 고속도로로 진입장흥 IC장흥읍

3.     천관산 방면회진면노력항

장흥읍에서 노력항까지 약 30 소요, 회진면에서는 약 15 정도 소요됩니다.


3. 과거 운항 정보 (시간표 · 소요 시간)

과거 장흥노력항에서 제주도 동부 성산항까지는 오렌지1가 운항했습니다. 주 운항 시간표는 다음과 같았습니다.

구분 출발지 출발시간 휴항(문의요망)
오렌지1 노력항성산항 매일 08:50 비정기 휴항
  노력항성산항 비정기 15:30 비정기 휴항
  성산항노력항 매일 12:30 비정기 휴항
  성산항노력항 비정기 18:50 비정기 휴항

·        운항 소요시간: 2시간 20

·        비정기 증편: 주말, 연휴 기간, 특별수송기간 등.

·        휴항일: 2개월 전에 공지되며, 기상악화·선박 정비 등 사유로 가변적.

과거에는 같은 선사(장흥해운 또는 제이에이치페리)에서 오렌지2까지 운항하던 시절이 있었으며, 이용객 증가에 따라 일 2~3회 추가 증편도 진행되었습니다. 다만 세월호 사고(2014), 메르스 사태(2015), 타 지역(목포·여수·완도 등)과의 경쟁 과열, 엔진 결함, 강화된 안전 검사 등의 여러 이유로 결국 2015 10 26부터 운항이 전면 중단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4. 오렌지1 (과거 운항선박) 소개

·        총 톤수: 4,200톤의 대형 카페리(쾌속선)

·        여객 정원: 825

·        차량 선적: 85대 가능

·        편의시설: 던킨도너츠, 편의점, 카페, 놀이방 등

·        안전 장비: 최신형 MES(Marine Evacuation System) 탑재

4.1 빠른 운항 소요시간

·        육지(장흥)에서 제주(성산)까지 2시간 20~40분으로 국내 최단 시간 운항(과거 기준)

4.2 저렴한 차량선적 요금(과거 대비)

·        다른 노선 대비상시 할인 행사를 진행하여 차량 선적 요금이 절반가량 저렴했던 시절도 있었습니다. 그 결과 차량 선적 공간이 빠르게 마감되어 미리 예약을 해야만 했습니다.


5. 과거 여객 운임 및 차량선적요금 (참고 자료)

현재는 운항이 중단되었지만, 과거 참고용으로 남아있던 요금표(일부 변동 가능성 있음)를 소개합니다.

5.1 과거 일반 여객 운임(예시)

·        정상 운임(평일 기준)

o   어른: 29,500

o   소아( 2~ 12세 미만): 14,750

o   ·고생 및 일반단체(10% 할인): 26,600

o   학생단체(20% 할인): 23,600

·        할증 운임(성수기·주말·특수기간)

o   어른: 32,500

o   소아: 16,300

o   ·고생·일반단체(10% 할인): 29,300

o   학생단체(20% 할인): 26,000

·        도민 할인: 장흥군민, 제주도민(10% 할인)

·        특별수송기간(·추석·여름 성수기 등): 정부에서 지정한 일정에 따라 운임 10% 할증 발생

위 금액은 과거 자료를 기반으로 하며, 시점·시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5.2 과거 차량선적요금 예시

다음 표는 과거오렌지호운항 시기에 공지되었던 장흥-제주 노선의 차량선적요금 예시입니다. (일부 자료에서는 선박사명 “IHFerry” 혹은 “JHFerry”로 표시되어 있으나, 실제 현장에서는장흥해운”, “제이에이치페리등 여러 명칭이 혼재되었습니다.)

참고: 현재는 운항을 하지 않으므로, 이 금액은예전에 이랬다는 정도로만 확인해 주세요.

국산차 기준 (예시)

구분 평일정상운임 휴일정상운임 취항기념할인1 취항기념할인2 특송기간요금
경차(마티즈·모닝·티코 등) 82,000 91,000 60,000 65,000 75,000
소형(리오, 프라이드 등) 85,000 96,000 65,000 70,000 80,000
준중형(아반떼, 크루즈 등) 98,000 111,000 70,000 75,000 85,000
중형(쏘나타, SM5, K5 ) 98,000 111,000 80,000 85,000 95,000
대형세단(그랜저, 제네시스 등) 110,000 127,000 90,000 95,000 105,000
SUV(투싼, 싼타페 등) 114,000 129,000 95,000 100,000 105,000
리무진(에쿠스 리무진 등) 130,000 149,000 110,000 115,000 125,000
스포츠유틸(무쏘스포츠 등) 130,000 149,000 110,000 115,000 125,000
승합차(카니발, 스타렉스 등) 별도 책정(전화예약) 별도 책정(전화예약) - - -

일부 차량(15인승 이상 승합차·화물칸 적재 차량 등)은 선적이 불가능했습니다.

수입차 기준 (예시)

구분 평일정상운임 휴일정상운임 취항기념할인1 취항기념할인2 특송기간요금
소형 수입차(폭스바겐 골프, 미니쿠퍼 등) 136,000 158,000 95,000 100,000 110,000
중형 수입차(BMW 3시리즈, 벤츠 C클래스 등) 136,000 158,000 105,000 110,000 120,000
준대형 수입차(BMW 5시리즈, 벤츠 E클래스 등) 147,000 169,000 105,000 110,000 120,000
대형 수입차(BMW 7시리즈, 벤츠 S클래스 등) 159,000 187,000 130,000 135,000 145,000
SUV(BMW X시리즈, 벤츠 M클래스, 볼보 XC ) 153,000 178,000 130,000 135,000 145,000
컨버터블·스포츠카(벤츠 SLK, BMW Z, 포르쉐 박스터 등) 181,000 208,000 175,000 180,000 180,000

이 역시도 화물 적재 차량·대형 버스·수입 승합차 등은 대부분 선적 불가.

5.3 차량 선적 시 유의사항

1.     차량 높이·길이 제한: 선박 구조 특성상 일부 대형 SUV·미니버스(12~25인승), 수입 승합차 등의 선적은 불가했습니다.

2.     화물 적재 시 불가: 액티언스포츠, 무쏘스포츠, 코란도스포츠 등스포츠차량이라도 적재물이 있으면 선적 제한.

3.     15인승 승합차: 전화 예약으로만 가능(당시), 제한이 많았음.

4.     예약 마감: 과거에는저렴한 선적료덕분에 예약이 빠르게 마감되곤 했으니, 사전 예약 필수였습니다.


6. 장흥 노력항 터미널 시설 및 셔틀버스 안내

과거 운항 시절, 노력항 터미널은 하루에 약 300대 이상 차량을 무료 주차할 수 있는 주차장을 운영했습니다. 또한 무료 셔틀버스를 운행하여 광주 등 외부 지역에서 오기에도 편리했습니다.

6.1 셔틀버스 노선 (과거 기준)

·        광주역(출발)

·        광천동 신세계 백화점 앞(경유)

·        장흥읍

·        장흥 노력항(도착)

운행 시간은 매일 배편 운항 시간에 맞춰 탄력적으로 조정되었으며, 여객선닷컴 예약 시 셔틀버스 이용 여부를 알리면 별도로 배차를 안내해 주었습니다.


7. 예약 변경·취소·환불 규정 (과거 자료)

7.1 개인·단체 구분

·        단체:

o   출항 3일 전 취소취소 수수료 없음

o   출항 1일 전 취소운임의 10% 공제

o   출항 당일(출항 전) 취소운임의 20% 공제

o   출항 후운임의 50% 공제 후 환불

o   출항 2일 후환불 불가

·        개인:

o   출항 1일 전 취소취소 수수료 없음

o   출항 당일(출항 전) 취소운임의 20% 공제

o   출항 후운임의 50% 공제 후 환불

o   출항 2일 후환불 불가

특별수송기간(성수기)은 별도 취소 수수료가 책정될 수 있습니다.
영업일 기준 오후 4 30분 이전에 취소 시 해당일 기준 적용, 이후에는 차기 영업일 기준으로 적용됩니다.


8. 승선 시 애완동물 동반 규정 (과거 자료)

1.     4kg 미만 애완견가로 60cm × 세로 40cm × 높이 30cm 이하 케이지에 넣어야만 동반 승선 가능.

2.     대형견(허스키, 말라뮤트, 리트리버, 도베르만, 진돗개 등) → 어떠한 이동가방·케이지라도 동반 승선 불가.

3.     차량 선적 고객대형견은 차량 내에 남겨둘 수 있으나, 선사 측은 애완견 사고·분실 등에 대해 책임지지 않음.


9. 성수기 및 특별수송기간 예약

·        성수기(특별수송기간): 매년 정부에서 일정 지정(여름 휴가철, ·추석 등).

·        이 기간에는 운항 스케줄이 조정되거나 운임에 10% 할증이 붙을 수 있습니다.

·        사전에 선사 예약 사이트나 고객센터(1800-6187) 등을 통해 일정을 확인하는 것이 필수였습니다.


10. 장흥노력항-제주성산항 노선의 역사와 현황

10.1 초기 취항 (2010~2015년 전후)

·        2010 7 1: 여수지방해양항만청으로부터 정기여객선 운송사업 면허 승인

·        2010 7 2: 취항식 및 본격 운항 개시

·        특징:

o   세련된 신형 쾌속 카페리

o   빠른 운항(장흥제주 약 2~3시간)

o   저렴한 운임 및 선적료

·        취항 초기에만 7~8월 두 달간 예약 접수가 10만 명을 돌파할 정도로 큰 인기

·        지역경제 활성화: 회진면 하루 방문객이 취항 전 70취항 후 1,000으로 급증

10.2 장기 휴항 (2015 10 26~현재)

·        세월호 참사(2014 4)로 인한 여객수요 급감

·        메르스 유행(2015), 타 지역(목포·여수·완도·고흥·해남) 노선과의 경쟁 과열

·        엔진 결함 논란(2015 5~7) 등 운영난 가중

·        결국 2015 10 26일부터 운항이 중단, 2016 4 1일 휴업에 들어감

·        새로운 운영사 찾기가 어려워 재취항이 무산되었음

10.3 다기능 연안항 개발(2018~)

·        장흥군은 노력항을 국가 연안항으로 지정받기 위해 항만 시설(방파제·물양장·주차장 등) 확장 추진

·        2018어촌뉴딜 300’ 공모사업지로 선정되어 2019~2022년 약 88억 원을 투입

·        5000톤급 대형 선박 접안이 가능하도록 시설을 확장할 계획

·        향후 재취항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은 남아있으나, 구체적인 일정은 미정


11. 장흥-제주 배편이 지역경제에 미친 영향

·        여행객 증가: 하루 70명 수준이던 회진면 방문객이 1,000명으로 증가( 14배 성장).

·        지역 상권 활성화: 숙박업 매출 20%, 음식점 매출 30% 상승 효과.

·        관광 인프라 확충: 주변 숙박·음식점뿐만 아니라 수산물·농수산 특산품 판로 확대.

짧은 기간이지만 207만 명(연평균 약 40만 명) 이상의 여객이 장흥노력항을 통해 제주를 오갔다고 하니, 항구 기능만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면 지속적인 지역 경제 성장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었을 것으로 평가됩니다.


12. 현재 운항 중단 및 재개 가능성

·        2015 10월 운항 중단 후, 여러 선사와의 협상이 시도되었으나 무산

·        2018 MOU 체결, 2,500톤급 여객선 재취항 추진해양수산부의 면허 기준 강화, 선사 사정 등으로 실패

·        현재: 운항 재개는 불투명

·        다만 장흥군에서 계속해서 연안항 지정을 추진 중이며, 항만 시설 확장 및 수산물 유통기지 계획을 내세워 노력항을 발전시키고자 하는 노력은 계속되고 있음


13. (과거) 장흥노력항제주 성산포 운항 FAQ 정리

1.     질문: 지금도 운항 중인가요?
답변: 현재는 운항 중단 상태입니다. 과거(2010~2015) 운항했던 자료이며, 2015 10월 이후 중단되었습니다.

2.     질문: 오렌지호 외에 다른 배가 있었나요?
답변: 한때 승객 증가로오렌지2도 투입되었으나, 수요 감소로 다시 1척만 운항하다가 결국 전면 중단되었습니다.

3.     질문: 운항 소요 시간은 정확히 얼마나 걸렸나요?
답변: 쾌속선이었기에 약 2시간 20(또는 2시간 30~40) 사이였고, 기상 상황에 따라 ±10~20분 변동이 있었습니다.

4.     질문: 차량 선적은 왜 저렴하다고 했나요?
답변: 당시 오렌지호는 상시 할인 행사 등을 통해 타 노선 대비 비교적 선적료가 낮았습니다. 이로 인해 차량 선적은 항상 예약이 빨리 마감되곤 했습니다.

5.     질문: 중단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답변: 경쟁 과열, 세월호 참사·메르스 여파로 인한 여행객 급감, 선박 엔진 결함 문제, 운영사 자금난 등 복합적 요인입니다.

6.     질문: 재개될 가능성은 전혀 없나요?
답변: 장흥군 측에서 계속적으로 재취항 및 연안항 지정을 추진 중이지만, 해양수산부의 강화된 심사 기준, 선박 구입 또는 임대 비용, 운영사 선정 등의 과제가 많아 당장 재개는 어렵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7.     질문: 애완견 동반이 가능한가요?
답변: (과거 기준) 4kg 미만 소형견을 규격 케이지에 넣으면 가능했으나, 대형견은 차량 내 보관 외에는 동반 승선 불가였습니다.


14. 장흥노력항제주성산항 노선이 주목받았던 이유

1.     최단거리 항로: 육지(장흥)와 제주(성산) 간 이동 시간이 짧고, 제주동부 관광지(성산일출봉, 우도 등) 접근성이 뛰어났습니다.

2.     편리한 선사 서비스: 쾌속 카페리(오렌지1) 내부의 각종 편의시설(던킨도너츠, 카페테리아, 편의점 등).

3.     저렴한 비용: 여객 운임·차량 선적 요금 모두가격 경쟁력이 있었음.

4.     지역 경제 활력: 장흥군 회진면 일대 식당·숙박업 등 소규모 지역 상권에 큰 도움.


15. 여행 팁 (과거 활용 안내)

1.     선박 출발 1시간 전 도착

o   차량 선적 예정일 경우에는 적어도 1시간~1시간 30분 전에 도착해주셔야 수속 지연을 피할 수 있었습니다.

2.     주말·성수기 사전예약 필수

o   과거에는 예약 없이 현장 발권도 가능했으나, 주말·연휴·성수기에는 조기 매진 사례가 많았습니다.

3.     셔틀버스 이용

o   광주역 ~ 광천동 신세계백화점 앞 ~ 장흥읍 ~ 노력항 구간 무료 셔틀이 운행되어 대중교통 연결 편의가 좋았습니다.

4.     날씨 확인

o   여객선은 기상악화 시 휴항되거나 스케줄이 바뀔 수 있으므로 반드시 운항 전날, 당일 아침에 선사 공지·문자 등을 확인했어야 합니다.


16. (참고) 현재 대체 노선?

·        완도제주: 여객선 다수 운항(한일고속, 씨월드고속 등)

·        목포제주: 대형 카페리 운항(하추자도 경유 등)

·        녹동(고흥)↔제주: “성산포도착 노선(선라이즈제주호)

·        부산제주: 일부 크루즈형 카페리(카멜리아 등)

하지만장흥노력항제주성산항직항 노선은 현재 운항하지 않습니다.


17. 맺음말

장흥노력항여객선터미널은 한때 국내 최단 시간으로 장흥제주(성산) 구간을 운항했던오렌지호카페리 노선으로 큰 인기를 누렸습니다. 짧은 운항 시간, 저렴한 차량선적요금, 편리한 셔틀버스 등으로 2010년부터 2015년까지 5년여간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하였으나, 여러 악재가 겹쳐 2015 10부터 운항이 중단된 상태입니다.

 

지방자치단체와 해운사가 꾸준히 노력항 재활성화를 추진하고 있지만, 선박 확보, 면허 취득, 안전기준 충족, 운영비용 문제 등 복합적인 난관이 남아 있어 곧바로 재취항이 이루어지기는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0~2015년 사이에 많은 탑승객과 차량을 실어 날랐던 장흥-제주 배편이 주었던 편리함과 경제적 효과는 아직도 지역 주민과 여행객들 사이에서 기억되고 있습니다.

 

향후 노력항의 항만 시설 확충(어촌뉴딜 300 사업)과 연안항 지정이 진행된다면, 언젠가 이 노선이 다시 활발하게 운항될 날이 오길 기대해봅니다. 비록 현재는 운항 중단 상태로 예전처럼 이용할 순 없지만, 본 문서가 장흥 노력항에서 제주도까지의 과거 배편(시간표·요금표·차량선적요금 등)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함께 보면 좋은 다른 정보 (예시)

1.     제주 연안여객선터미널 시간표 (목포제주, 완도제주, 녹동제주 등)

2.     부산제주 카페리 요금 및 할인조건

3.     고흥(녹동항)↔제주 성산포 노선 시간표

4.     목포제주 / 목포추자도 배편 최신 운항 안내

5.     제주도 내 차량렌트 vs 차량선적 비용 비교

 

장흥-제주 노선이 재개될 미래를 기대하며, 이 글이 과거 장흥노력항의 영광과 정보를 궁금해 하시는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장흥과 제주를 잇던 빠르고 저렴한 배편이 어느 날 다시 부활할 수 있기를 많은 이들이 바라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장흥노력항여객선터미널 제주도 배편 시간표, 요금표, 차량선적요금 관련 FAQ

 

아래 FAQ는 현재 운항이 중단된 장흥노력항여객선터미널의 과거 운항 자료를 토대로 작성하였습니다. 실제로 이 노선(장흥제주)이 다시 운항되지 않는 점 참고 부탁드리며, 모든 정보는 과거 자료임을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1. 현재 시점에서 장흥노력항여객선터미널 ~ 제주(성산항) 배편이 운항 중인가요?

Q: 장흥노력항여객선터미널에서 제주도 성산항까지 배편이 실제로 운항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최근 정보를 보니 운항 중단 소식이 있다던데, 지금은 어떻게 된 상황인가요?

A:
현재(2023~2025년 시점)장흥노력항여객선터미널에서 제주도 성산항까지 직접 연결되는 정기 여객선 운항은 중단된 상태입니다. 이 노선은 과거(2010 72015 10)까지 운항되었으나, 여러 가지 이유(경쟁 과열, 이용객 감소, 세월호 참사 이후 전반적 해상수요 하락, 선사의 재정난, 엔진 결함 문제 등)로 인해 2015 10 26일부터 운항을 중지했습니다. 이후 장흥군과 여러 해운사가 재취항을 모색했지만, 해양수산부의 여객운송 면허 취득 요건이 강화되고, 운항사를 찾기 어려운 상황이 지속되어 결국 운항 재개가 무산되었습니다.

 

더 구체적으로는 2018년경 재취항 추진을 위한 MOU(양해각서)까지 체결되었으나, 선사 측에서 면허 취득을 포기하면서 재개가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장흥군에서는 노력항을 연안항(다기능 어항)으로 지정받기 위해어촌뉴딜 300사업등을 추진하며, 방파제 확장·접안시설 확충 등을 해오고 있으나, 2025년 현재까지도장흥노력항제주성산항구간의 여객선은 운항되지 않습니다.

결론적으로 장흥제주도 배편을 이용할 수 없으며, FAQ에 나오는 시간표·요금표·차량선적요금 정보는 모두 과거(운항 당시) 기록임을 유의해 주세요.


2. (과거 기준) 장흥노력항제주 성산항 여객선 시간표는 어떻게 되었나요?

Q: 운항이 중단되기 전에 장흥노력항에서 제주 성산항으로 가는 여객선 시간표가 어떻게 되었는지 궁금합니다. 일일 운항 횟수, 소요 시간 등 세부 일정이 궁금합니다.

A:
운항 당시(2010년대 중반 기준), 주요 운항선이었던 오렌지1의 시간표는 아래와 같았습니다.

·        노력항(장흥) → 성산항(제주)

o   매일 08:50 출발 (정규 운항)

o   비정기 15:30 출발 (주말·특별수송기간·성수기 등에 추가 운항)

·        성산항(제주) → 노력항(장흥)

o   매일 12:30 출발 (정규 운항)

o   비정기 18:50 출발 (주말·특별수송기간·성수기 등에 추가 운항)

이 배편은 평균 약 2시간 20 정도 소요되었습니다. 기상상태나 계절적 변동, 특별운송기간(·추석·여름 성수기 등)에는 운항 시간이 다소 변동되거나 휴항·결항이 될 수도 있었습니다.

과거에는 이용객이 늘어나면 주말 및 연휴기간에 증편 운항도 자주 실시했습니다. 이 비정기 운항 시간대는 보통 오후 3시대(장흥 출발), 그리고 오후 6~7시대(성산 출발)가 많았습니다. 다만, 증편 계획은 선사 사정과 예약상황에 따라 달랐으므로 정확한 시간표는 출발일 기준으로 11개월 전 공지가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습니다.


3. (과거 기준) 여객운임은 얼마였고, 성수기에는 요금이 어떻게 달라졌나요?

Q: 장흥노력항~제주성산항 구간의 과거 여객운임은 얼마나 했나요? 또 성수기나 주말(혹은 특별수송기간)에는 운임이 달라졌는지 궁금합니다.

A:
이 노선이 한창 운항되던 시절에는 오렌지호기준으로 여객운임이 아래와 같은 식으로 책정되었습니다(예시):

1.     평일·정상운임 (성수기 할증 미적용)

o   어른: 29,500

o   소아( 2 ~ 12세 미만): 14,750 (성인 요금의 50%)

o   ·고생 및 일반단체(10명 이상): 정상운임 대비 10% 할인 26,600

o   학생단체(20명 이상): 정상운임 대비 20% 할인 23,600

2.     할증 운임 (주말, 공휴일, 특별수송기간 등)

o   어른: 32,500

o   소아: 16,300

o   ·고생·일반단체: 29,300

o   학생단체: 26,000

3.     특별수송기간(성수기)
정부가 매년 지정하는 특정 기간(·추석 연휴, 여름 휴가철 등)을 말하며, 이 기간에는 정상운임 대비 10% 정도 할증이 붙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o   할증이 적용되면 성인 기준 30,000원대 초반~중반으로 올라갔습니다.

o   소아, 단체, 도민할인(장흥군민·제주도민)은 이와 별도로 할인율이 적용되며, 할인된 액수에 다시 할증이 붙는 방식이었습니다.

4.     도민 할인

o   장흥군민 혹은 제주특별자치도민 증빙 시 10% 정도 할인 적용.

주의해야 할 점은, 과거 요금표 기준으로도 실제 탑승 시점(연도, 시즌, 이벤트)에 따라 소폭 변동이 존재했다는 것입니다. 또한 사전예약 할인, 이벤트 할인 등이 별도로 열리면 추가 할인이 적용되기도 했습니다.


4. (과거 기준) 차량선적요금은 어떻게 책정되었나요?

Q: 많은 분들이 차량을 제주도로 가져가고 싶어 하셨는데, 과거 장흥제주 노선의 차량선적요금은 얼마나 했나요? 차종별로 세부적인 금액을 알고 싶습니다.

A:
장흥노력항에서 출발하는 오렌지호는 차량 약 80~85대를 실을 수 있는 쾌속 카페리였습니다. 과거 공지된 차량선적요금표(국산차 기준) 예시는 아래와 같았습니다.

·        경차(마티즈, 모닝, 티코, 레이 등)

o   평일 정상운임: 82,000 / 휴일 정상운임: 91,000 / 특송기간: 75,000

o   취항기념 할인가는 60,000~65,000원 선이었으며, 시기에 따라 달라짐.

·        소형/준중형(프라이드, 엑센트, 크루즈, 아반떼 등)

o   평일 정상운임: 85,000~98,000 / 휴일 정상운임: 96,000~111,000 / 특송기간: 80,000~85,000

·        중형(쏘나타, SM5, K5, 말리부 등)

o   평일: 98,000, 휴일: 111,000, 특송기간: 95,000원 전후

o   취항기념 할인으로 80,000~85,000원 정도가 적용될 때도 있었음.

·        대형세단(그랜저, K7, SM7, 제네시스, 에쿠스 등)

o   평일: 110,000 / 휴일: 127,000 / 특송기간: 105,000원 전후

o   할인가(취항기념 등) 90,000~95,000원 수준.

·        SUV(투싼, 스포티지, 싼타페, 쏘렌토 등)

o   평일: 114,000 / 휴일: 129,000 / 특송기간: 105,000원 내외

o   취항기념 할인가 95,000~100,000원도 있었음.

·        리무진(에쿠스 리무진, 체어맨 리무진 등)

o   평일: 130,000 / 휴일: 149,000 / 특송기간: 125,000원 내외

·        스포츠유틸(무쏘스포츠, 코란도스포츠 등)

o   화물이 실려 있으면 선적 불가였으며, 개인용 짐만 있어도 반입 기준에 따라 추가 비용이나 제한이 있을 수 있었습니다.

또한 승합차(카니발, 스타렉스 등)대형 수입차(BMW X, 벤츠 M, 볼보 XC )는 더 높은 요금이 책정되었고, 수입 컨버터블이나 미니버스(12~25인승) 등은 일부 선적이 제한되거나 아예 불가한 경우도 있었습니다.

 

가장 중요한 점은, 선적 가능 여부가차량의 크기, 높이, 적재 상태에 따라 달라졌다는 사실입니다. 예컨대 화물이 많이 실린 상용차(2.5, 화물밴 등)는 적재 불가, 15인승 이상 승합차는 전화예약으로만 가능했으며, 실제로는 현장 선적 시 크기 문제로 탑승을 거절당한 사례도 보고되었습니다.


5. 차량선적 시 유의사항과 예약 팁이 있나요?

Q: 차량선적을 희망하는데, 어떤 점을 꼭 주의해야 하고, 예약할 때 꿀팁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A:

1.     예약 시기:

o   과거 이 노선이 운항되던 시절에는 차량 선적이 매우 인기가 많아서 주말과 성수기에는 빠른 시일 내에 마감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차량 선적이 ‘80~85대 한정이므로, 여행 계획이 있다면 최소 2~1개월 전(성수기에는 최대 2~3개월 전) 미리 예매하는 것이 필수였습니다.

2.     차량 크기·높이 확인:

o   선사의 선적 규정에 따르면 차고(차량높이), 차량길이, 윤거(너비)가 일정 기준을 넘으면 선적이 어려웠습니다.

o   예를 들어, 캠핑카 개조나 루프박스 장착 등의 경우에는 사전에 선사와 협의해야 했습니다.

3.     화물 적재 금지:

o   오렌지호는 여객 및 개인용 차량을 위한 카페리였기 때문에, 화물이 과다하게 적재된 차량(스포츠트럭 적재함에 화물 박스 등)은 선적이 거절될 수 있었습니다.

o   다만 일상적인 여행가방·낚시도구 정도는 제한받지 않았습니다.

4.     출발 최소 1시간 전 도착:

o   차량 선적을 하려면 터미널 수속선적 위치 안내 등에 시간이 소요됩니다.

o   주말·성수기에 혼잡하므로, 보통 출항 시간 1시간~1시간 30분 전에는 미리 도착해 있어야 원활한 수속이 가능했습니다.

5.     선사 고객센터 확인:

o   운항이 중단되기 전에는 대표번호(1577-5411) 또는 여객선닷컴, 장흥해운(제이에이치페리) 홈페이지에서 차량선적 가능 여부를 꼭 사전에 체크했습니다.

o   해외브랜드나 대형 SUV, 대형 승합 등은 불가할 수도 있으므로 문의가 필수였죠.


6. 여객선 시간표와 휴항 여부를 어떻게 확인했나요?

Q: 과거에는 비정기 휴항도 많고, 증편 운항이 있을 수도 있다고 들었습니다. 그럼 그 정보는 어디서 어떻게 확인했었나요?

A:

1.     여객선닷컴 및 선사 홈페이지:

o   운항 당시에여객선닷컴이라는 예약 플랫폼이나 선사(장흥해운, JHFerry) 홈페이지, 그리고 고객센터 연락을 통해 가장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2.     대표전화:

o   장흥노력항여객선터미널 대표전화(1577-5411) 또는 오렌지호 예약처(해당 시점마다 상이)를 통해 휴항 여부, 증편 여부를 수시로 확인했습니다.

3.     문자 공지:

o   예매 시 연락처를 남기면, 기상 악화나 선박 정비 사유로 갑작스러운 휴항·결항이 발생할 경우 문자로 안내가 오기도 했습니다.

4.     SNS 및 블로그:

o   일부 여행 전문 블로그나 지역 카페에서 운항 스케줄 변동사항을 재빠르게 알려주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공식 채널이 아니므로, 반드시 선사 측에 2차 확인이 필요했습니다.

5.     비정기 휴항 / 증편:

o   주말, 연휴(·추석, 황금연휴), 여름 성수기 등에오후 증편또는아침 일찍 출항 추가등이 이루어지곤 했습니다.

o   반대로, 선박정비·엔진 결함·태풍 등으로 인해 2~3일 연속 휴항하기도 했습니다.

결국, 당시도 최소 1주일 전부터 스케줄을 계속 체크해두어야 했고, 출항 전날엔 반드시 최종 운항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안전했습니다.


7. 예약 취소나 환불 규정은 어떻게 되었나요?

Q: 단체나 개인 예약을 취소할 때 수수료가 어떻게 달랐는지, 그리고 성수기에는 적용 규정이 달랐다고 들었습니다. 구체적으로 알고 싶습니다.

A:
(
과거 기준) 장흥제주를 운항하던 오렌지호의 취소·환불 규정은 대략 다음과 같았습니다.

1.     개인 고객

o   출항 1일 전(영업일 오후 4 30분 이전)까지취소 수수료 없음

o   출항 당일(출항 전) 취소운임의 20% 공제 후 환불

o   출항 후(이미 배가 출항함) → 운임의 50% 공제 후 환불

o   출항 2일 후환불 불가

2.     단체 고객(10명 이상)

o   출항 3일 전취소 수수료 없음

o   출항 1일 전운임의 10% 공제

o   출항 당일(출항 전) → 운임의 20% 공제

o   출항 후 1일차운임의 50% 공제 후 환불

o   출항 2일차(또는 그 이후) → 환불 불가

3.     영업일 기준

o   취소나 변경은영업일(주말·공휴일 제외) 오후 4 30분 이전에 신청해야 당일 접수로 처리되었습니다. 예컨대 금요일 오후 5시에 취소 요청을 했다면, 그 다음주 월요일 오전에 처리되는 식이었습니다.

4.     특별수송기간(성수기)

o   정부 지정 특별수송기간(·추석, 여름피서철 등)에는 보다 엄격하거나 별도의 수수료율을 적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출항 전이라도 환불 공제율이 30~40%로 높아질 수 있었고, 예약 취소 불가 기간이 설정된 경우도 있었습니다.

따라서 중요한 것은 반드시 취소·변경 시점을 꼼꼼히 확인하고, 영업일 기준이라는 부분을 놓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었습니다. 특히 명절이나 공휴일 전날에 예약 변경이 필요한 경우는 더 주의해야 했습니다.


8. 대형견이나 애완동물 동반이 가능했나요?

Q: 반려동물을 데리고 여행을 계획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장흥제주 배편에선 강아지·고양이 등 동반 승선이 되었나요? 그리고 대형견은 어떤 규정이 있었나요?

A:
(
과거 기준) 오렌지호 승선 시 애완동물 동반 규정은 아래와 같았습니다.

1.     소형견(몸무게 4kg 미만)

o   규격 케이지(가로 60cm × 세로 40cm × 높이 30cm 이하)에 넣어야만 동반 승선 가능.

o   탑승 중에도 케이지 밖으로 꺼내는 것은 금지되었습니다.

2.     대형견(허스키, 리트리버, 말라뮤트, 진돗개 등 4kg 초과 대형종)

o   케이지나 이동가방이 있어도여객실로의 동반 승선 자체가 불가했습니다.

o   만약 차량을 선적하는 승객이라면, 차량 내부에 애완견을 남겨둘 수는 있었지만, 선사 측은 애완견 안전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았습니다. 더불어 배가 운항 중에는 차량 갑판으로 내려가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했기 때문에, 애완동물 케어가 어려웠습니다.

3.     기타 반려동물(고양이, 조류 등)

o   원칙적으로 4kg 미만이라 하더라도 꼭 규격 이동장에 넣어야 하고, 소음을 유발하거나 다른 승객에게 불편을 끼치는 경우 승선이 제한될 수 있었습니다.

4.     선사 책임 배제

o   애완동물 때문에 발생하는 사고, 질병, 분실, 온도 문제 등은 선사가 책임지지 않는다고 명시했기 때문에, 많은 반려인들이 운송 중에 불안함을 느꼈습니다.

결국 대형견을 동반해 여행하려면, 차량선적을 해서 차량 안에 반려동물을 두거나, 다른 육상 교통수단을 활용해야 했습니다. 소형견도 케이지 기준을 엄격히 준수해야 했으므로, 배편 여행은 다소 까다로운 편이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9. 장흥노력항 터미널 주변 교통편과 주차장은 어떠했나요?

Q: 차량 없이도 이용할 수 있나요? 셔틀버스나 대중교통, 터미널 주차장은 어떻습니까?

A:
장흥노력항은 장흥읍 중심부에서 차량으로 약 30, 회진면 중심부에서는 약 15분가량 거리에 위치해 있었습니다. 과거에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접근이 가능했습니다.

1.     무료 셔틀버스

o   광주역광천동 신세계백화점 앞장흥읍노력항 (도착)

o   오렌지호 운항 시간표와 연동되어 출발 시간이 조정되었습니다.

o   사전 예약 시 셔틀버스 좌석도 함께 요청해야 사용이 가능했고, 보통 하루 1~2회 운행되었습니다.

2.     시외버스

o   노력항시외버스정류장이 설치되어 있었지만, 버스 노선이 매우 한정되어 있어 이용률이 많지는 않았습니다.

o   광주 유스퀘어터미널장흥터미널(시외버스)→장흥읍회진면행 군내버스 또는 택시, 이렇게 환승해야 했기 때문에 번거로운 편이었습니다.

3.     개인차량 이용

o   직접 노력항까지 운전해오는 경우가 가장 많았습니다.

o   터미널에는 300대 이상의 무료 주차장이 준비되어 있어서, ·단기 주차가 가능했습니다. 다만 성수기·주말에는 주차장이 빠르게 만차되는 경우도 발생했습니다.

4.     주차장 이용

o   터미널 바로 앞에 있는 대형 공영주차장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일부는 임시 마사토(흙바닥) 주차장이었기에 주차환경은 조금 불편할 수 있었으나, 주차비가 들지 않는다는 점이 큰 장점이었습니다.

전반적으로, 광주 등 수도권이 아닌 곳에서 출발하는 여행자라면, 광주까지 KTX나 버스를 타고 와서 터미널까지 셔틀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차량을 가져올 때에는 무료 주차장이 넉넉했으나, 배편 운항이 중단된 현재는 셔틀버스도 운행되지 않습니다.


10. 장흥노력항 ~ 제주 성산항 노선이 왜 운항 중단되었고, 재개될 가능성은 없나요?

Q: 많은 사람이 이용했던 노선인데 왜 갑자기 중단되었는지, 그리고 앞으로 다시 운항될 희망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A:

1.     중단 배경

o   이용객 감소: 초기(2010~2012)에는 폭발적인 수요로 하루 수천 명씩 운항했으나, 목포·완도·여수·고흥 등 다른 지역에서도 제주행 노선을 증설하면서 경쟁이 심화되었습니다.

o   세월호 참사(2014): 전국적으로 해상여행 수요가 급감하였고, 이후 안전규정이 강화되면서 선사가 추가 시설 투자를 해야만 하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o   메르스(2015): 국내 관광수요 전체가 줄었으며, 결국 선사가 더 이상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에 이르러 2015 10 26일자로 운항을 전면 중단했습니다.

2.     재개 노력 및 어려움

o   장흥군은 어촌뉴딜 300사업을 통해 노력항을 확장·정비하고, 다른 해운사와 협의하며 여객선 면허를 부활시키려 했습니다.

o   2018년경장흥고속해운과 재취항 MOU를 체결했으나, 정기여객운송사업자 면허 취득 요건이 강화되고, 선사가 포기하면서 실패했습니다.

o   외국 국적 선박을 한국 국적으로 전환해 투입한다는 안도 논의되었으나, 협상 결렬 등 여러 이유로 무산되었습니다.

3.     현실적 전망

o   2025년 현재까지도 후속 운항이 이뤄지지 않고 있으며, 차후 재개 가능성도 불투명합니다. 정부 심사와 대규모 자본 투입, 승객 수요 확실성 등 많은 난관이 남아 있습니다.

o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흥군 측은 “5000톤급 여객선 접안 가능규모로 노력항을 확장 중이므로, 장기적으로는 남해안 도서관광과 물류 중심지로 키우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 향후 수요와 운영사의 의지가 맞아떨어진다면, 언젠가는 재운항이 현실화될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순 없겠습니다.

정리하자면, 현재로서는 운항 중단이 길어지고 있고, 단기간 내에 장흥제주 노선을 바로 다시 이용할 수 있을 전망은 높지 않습니다. 그러나 지역사회와 지자체에서 지속해서 재개를 희망하고 있는 만큼, 향후 재개 소식이 발표되면 많은 주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마무리

위의 FAQ 10개를 통해, 장흥노력항여객선터미널에서 운항되었던 장흥제주 성산항 노선의 시간표, 요금표, 차량선적, 취소·환불 규정, 셔틀버스, 애완동물 동반 규정, 그리고 중단 사유와 재개 가능성 등을 과거 자료 중심으로 최대한 세세하게 다루어 보았습니다.

 

현재 운항은 중단된 상태지만, 과거 이 노선은 매우 빠른 운항 시간과 저렴한 선적료로 큰 인기를 끌었으며, 장흥과 제주 동부(성산·표선 일대) 관광 활성화에 큰 기여를 했습니다. 언젠가 적절한 운항사가 나타나 시설 및 면허 문제가 해결된다면, 다시 한 번 장흥제주 노선이 부활하여 많은 분들에게 편의를 제공할 날이 올 수도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오늘 정리하여 알려드린 장흥노력항여객선터미널 제주도 배편 시간표, 요금표, 차량선적요금은 가장 최신 정보를 포스팅 작성 시점에서 가장 최신 정보를 확인하고 정리하였습니다만 장흥노력항여객선터미널 제주도 배편 시간표, 요금표, 차량선적요금은 향후 사정에 따라 변할 수 있으니 제가 작성한 포스팅은 참고용으로 보시기를 권해 드립니다. 가장 최신 장흥노력항여객선터미널 제주도 배편 시간표, 요금표, 차량선적요금은 포스팅 본문에 남긴 여객선터미널 홈페이지 또는 여행사 고객센터 또는 제주도 교통, 배편, 항공편 자료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장흥노력항여객선터미널 제주도 배편 시간표, 요금표, 차량선적요금에 대해서 자세히 알려드렸습니다.

 

댓글